렌즈의 질
카메라 렌즈 optics의 기계적, 전자적 차원뿐만 아니라 광학적 차원에 의해서도 결정됩니다.
현대의 렌즈들이 선명하고 정확한 컬러를 구현하려면 엄청나게 많은 전자장치들이 효과적으로 기능해야 합니다.
선명한 렌즈는 적절한 마찰력을 지닌 포커스와 줌 기능(zoom movement)으로 보완되어야 합니다.
뛰어난 렌즈(accomplished optics)
고가의 렌즈는 고정된 각각의 엘레먼트들 (하나의 렌즈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렌즈)로 이루워진 단단한 관이었지만
요즘의 렌즈는 엘레먼트 이동이 좀 더 용이해졌습니다.
각각의 엘레먼트들은 주밍(zooming)으로 거리를 맞출 때 초점을 맞추기 위해 간격을 조정합니다.
손떨림 보정 렌즈(image stabilized)는 촬영자가 조금만 움직여도 거기에 맞게 조정됩니다.
섬세한 디테일을 가진 이미지를 만들 수 있도록 설계된 이러한 모든 조정 장치는 높은 콘트라스트와 매우 정확한
컬러 표현을 가능하게 하고, 색 주름을 최소화시킵니다.
하지만 높은 수준의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샤프니스와 컬러 이외에도 다른 요소가 필요합니다.
렌즈의 화각이 점점 광각으로 넓어지면 이미지 모서리 부분이 중앙부보다 어둡게 되는 경향이 매우 높아집니다.
빛" 저하 현상 (LIGHT FALL-OFF)라고도 부르는 이 현상은 화면 구성상 모서리 부분의 밝기를 억제할 필요가 있는
이미지에서는 유익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기술적으로는 바람직하지 않죠, 잘 설계된 렌즈는 대체로 빛 저하 현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줍니다.
이런 현상보다 더 흔하게 발생하는 문제는 비네팅입니다, 비네팅은 겉보기에는 빛 저하 현상과 같지만 특히 망원렌즈나
망원 줌렌즈를 사용할 때 많이 발생합니다.
비네팅이란.... 렌즈의 좁은 경통이 주변부 빛이 통과하는 것을 방해하여 어두워지는 것을 말하며, 이미지톤을 왜곡하고
구성을 망칩니다.
'여행 그리고 사진에 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팟(SPOT) 측광의 이해 (0) | 2019.11.25 |
---|---|
줌렌즈와 단렌즈 (0) | 2019.11.23 |
톤과 콘트라스트 (0) | 2019.11.21 |
값 비싼 장비(카메라)가 좋은 작품을 만들어 주지는 않는다. (0) | 2019.11.20 |
포토샵의 camera RAW로 일몰 사진 보정하기 (0) | 2019.11.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