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몰 시. 또는 역광으로 촬영하는 실루엣 사진에는 화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배경색의 색감을 강하게
표현하면 더 좋은 사진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일출, 일몰과 같이 색온도가 시시각각 다양하게 변하는 환경에서는 RAW로 촬영하는 것이 좋습니다.
여기서는 RAW 파일의 장점인 자유로운 색온도 조절을 통해 사진을 좀 더 드라마틱하고
다양한 느낌으로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촬영한 원본 사진을 CAMERA RAW로 불러옵니다.
예시 사진은 다대포 해수욕장에서 찍은 일몰 사진인데, 예시 사진인 만큼 퀄리티가 떨어지는
부분은 양지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진을 찍을 당시에는 구름들이 많아서 수시로 구름 사이로 빛이 내려지는 괜찮은 풍경이었으나,
노출의 편차가 심해져서 촬영하기 어려운 조건이었습니다.
2.
먼저 색온도를 촬영 시 보다 높게 조절해 봅니다.
먼저 저는 클립핑부터 해 줍니다(검정 계열, 흰색 계열), 위에 히스토그램을 참조하세요
(basic) 탭을 클릭하고 색온도( temperature) 슬라이더를 오른쪽으로 드래그하여 캘빈 값을 높여 봅니다.
색조(tint) 값도 조금 늘려 줍니다.
. 재가 정확한 값을 적지 않는 이유는 사진은 개개인의 감성 물이며 창작의 산실이기
때문에 알고리즘은 존재 하지만 수학적으로 공식이 없기 때문입니다.
노출 항목(exposure)에서 노출을 조정합니다.
따듯한 색감을 위해 생동감(vibrance)을 마젠타 계열에 가깝게 조절해 봅니다.
생동감은 파일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채도(saturation) 올려 주는 기능입니다.
HSL/grayscale탭에서 채도(saturation) 탭을 클릭한후 oranges항목을 조절해 봅니다.
그 밖에 toning 등 컬리브레이션 (calibration) , 여러 가지 항목이 있으나,
위에 언급한 부분만 이해하셔도 충분히 과하지 않은 보정으로 생동감 있는 일몰 사진을
연출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여행 그리고 사진에 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톤과 콘트라스트 (0) | 2019.11.21 |
---|---|
값 비싼 장비(카메라)가 좋은 작품을 만들어 주지는 않는다. (0) | 2019.11.20 |
RAW 파일의 필요성 (0) | 2019.11.18 |
리터칭의 목적은 주제를 좀 더 부각시키는 과정이다. (0) | 2019.11.12 |
라이트룸으로 가을 단풍을 만들어 보자 (0) | 2019.11.08 |
댓글